Locus는 와이파이나 3G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오프라인으로 지도를 볼 수 있는 안드로이드 전용 어플입니다. rmaps, oruxmaps, brut, maverick, worldexplorer 등의 수 많은 오프라인 지도 어플이 있지만 지금 소개하는 Locus는 이들보다 훨씬 더 훌륭하면서도 매력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온라인 및 오프라인 지도, GPS, 나침반, 트랙기록, POI, 지오캐싱, 무선으로 지도 다운로드 등 지도 어플의 종결자라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1. 주요 기능
○ 온라인 지도 (OSM, Google, Yahoo, Bing, OVI/Nokia 등 전체 39 가지)
○ 오프라인 지도 (SQLiteDB 형식)
○ 무선으로 온라인 지도 다운로드 (일정 지역 또는 국가 전체)
○ 트랙 기록 (GPS 기반)
○ POI(관심지역) 관리 (불러오기, 내보내기, 길안내)
○ 오프라인 지오캐싱 지원
○ 네비게이션 및 나침반
○ 구글 내지도와 연동
○ POI 증강현실
2. 기본 사용법
Locus는 거의 대부분의 버튼이 두 가지 기능을 가집니다. 버튼을 꾸욱 누르고 있으면 해당 버튼에 해당하는 설명이 나와서 기능을 익히는데 전혀 어려움이 없습니다. (위 "기본정보" 화면은 제가 한글번역에 참여하면서 테스트용으로 만든 어플을 캡쳐한 것입니다. 마켓 버전에는 아직 적용되지 않았습니다)
3. 주요 특징
인공위성의 GPS 수신 상태를 3D 또는 2D 형태로 볼 수 있습니다. 3D 형태로 설정하면 지구를 드래그하여 회전시키며 볼 수 있습니다.
온라인 지도 온라인 지도에서는 전 세계의 다양한 지도를 온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모드이기 때문에 와이파이나 3G에 접속되어 있어야 합니다. Google 지도에는 Classic 과 Korea 지도가 모두 포함되어 있는데 두 가지의 지도가 조금 다릅니다. 핸드폰에 기본으로 있는 구글 지도 어플과 동일한 지도를 보기 원한다면 Classic을 선택하면 됩니다. 또한 Classic이 Korea 모드보다 확대 배율이 한단계 더 높아 자세하게 보여줍니다.
온라인 지도를 이용하면 해당 지도의 타일이 SD카드에 자동으로 저장됩니다. 따라서 한번 지도를 탐색했던 위치와 확대 배율은 나중에 인터넷이 끊기더라도 계속 볼 수 있습니다. 기본 구글 지도 어플도 캐쉬를 저장하지만 Locus는 좀 더 적극적인 방식으로 캐쉬를 저장합니다.
(캐쉬된 지도는 SDcard/Locus/mapsOnline 폴더에 저장되며, 온라인 지도를 사용하여 새로운 지역을 탐색할 때마다 캐쉬가 저장되므로 파일 크기도 증가합니다)
사용자 지도 Mobile Atlas Creator로 다운받은 지도를 불러들여 오프라인 모드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흔히들 오프라인 지도 어플로 RMaps를 사용하는데 Locus는 Rmaps보다 반응이 빠르며, 구글 지도 어플처럼 사람이 움직이는 방향에 따라 지도가 회전을 합니다. 옵션에 따라 지도를 고정하거나 회전시킬 수 있으며 지도를 고정하지만 내가 바라보는 방향을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습니다.
(팁! Mobile Atlas Creator로 지도를 다운받을 때 보통은 Google Maps Korea를 선택해서 다운받는데 그냥 Google Maps로 다운받으면 한 단계 더 확대된 크기로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Mobile Atlas Creator 사용법 (오프라인 지도 다운로드)
지도 다운로드 구지 Mobile Atlas Creator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간편하게 Locus 어플 하나만으로 지도 타일을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다운받기를 원하는 온라인 지도를 먼저 선택한 후 영역을 지정하고 확대 배율을 지정해주면 곧바로 SD카드에 지도 타일을 다운로드합니다.
지도를 다운로드 할 때 형식변경 버튼을 눌러주면 위의 세번째 화면이 나오는데 4가지 형식을 정해서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 온라인 공유 지도 : 온라인모드에서 사용하는 캐쉬를 미리 받을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한 지도 영역은 오프라인처럼 지도캐쉬에서 보여지고, 다운받지 않은 그 외의 영역은 온라인 상태로 사용되게 됩니다. 다운받지 않은 영역은 와이파이를 켜고 지도를 드래그 해주면 빠진 이빨을 채우듯이 지도를 추가적으로 다운로드 합니다. 이 방식으로 다운 받을 때에는 파일명을 지정하는 옵션이 없으며, 알아서 sd에 저장됩니다.
● 별도의 지도 : 형식을 지정하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이 형식으로 다운 받습니다. 이 방식은 완전한 오프라인 모드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온라인 지도와 캐쉬를 공유하지 않으며 별도의 폴더에 저장됨). 위의 온라인 공유 방식보다 지도를 내이게이션하는 속도가 훨씬 빠릅니다. 온라인 공유 모드는 sd에서 읽어옴과 동시에 빠진 타일을 다시 저장하므로 속도가 느린 반면에 이 방식은 읽기만 하므로 지도를 보여주는 속도가 빠릅니다.
● 외부의 지도 : 별도의 지도 방식에서 다운받은 지도에 추가로 다른 지역의 지도를 추가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으로 다운로드를 시작하면 파일을 지정하는 창이 새로 열리며 sd에 저장된 sqlitedb 확장자의 파일을 선택해주면 다운로드가 시작됩니다. 단! 주의사항은 Mobile Atlas Creator로 다운받은 지도 파일에는 추가할 수 없으며(어플 자체에서 "별도의 지도" 형식으로 받은 파일에만 추가가능), 같은 종료의 맵에만 추가할 수 있습니다. 다시말해 구글 클래식맵에 구글 코리아맵을 더할 수는 없습니다.
마지막의 예전의 다운로드 모드(TAR)은 제작사에서 조만간 삭제한다고 하니 사용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추천하는 다운로드 방법 Mobile Atlas Creator로 다운로드 한 후 완전한 오프라인 모드로 사용하되, 다운로드하지 않은 지역을 이용할 때에는 3G나 와이파이로 사용하기 (또는 해당 지역을 가기 전에 미리 "온라인 공유 지도" 형식으로 다운로드 한 후 이용)
My Tracks처럼 자체적인 트랙 기록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My Tracks에서 저장한 트랙 파일을 Locus로 가져와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GPX 및 KML 파일을 지원합니다.
POI(관심지역)를 저장해 둘 수 있으며 GPS 기반의 트랙 기록뿐만 아니라 수동으로 경로를 지정해 저장할 수 있습니다.
또한 구글 내지도 서비스와 연동할 수 있으며, POI를 증강현실로 볼 수도 있습니다.
이런식으로 저장해둔 특정 장소나 경로를 이메일이나 문자 메세지의 첨부파일로 공유할 수도 있습니다.
어플이 아주 마음에 들어 제작자에게 의뢰해 한글 번역을 했는데 단 2틀 만에 어플에 적용하여 마켓에 업데이트해 줬습니다^_^
한글 번역 작업은 계속 진행 중이며 어색한 부분을 꾸준히 고쳐 나가고 있습니다.
제작자가 너무 고마워서 Special Thanks 부분에 제 이름을 넣어 준다는군요~ 후후
(이 제작자는 체코사람입니다. 본인이 영어를 썩 잘하지는 못한다는 군요.... 영어를 바탕으로 번역을 해서 그런지 조금 어색한 부분이 아직 많네요)
-4월 20일 내용 추가-
MOBAC의 정책에 따라 LOCUS에서 구글맵을 비롯한 대부분의 지도가 최신 버전에는 빠져있습니다. 1.5.1버전 까지는 모든 지도가 기본으로 탑재되어 있지만 이후 버전에는 없습니다.
LOCUS의 사용자지도 추가 기능으로 최신 버전의 LOCUS에서도 모든 지도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 첨부파일을 SD카드의 /Locus/mapsOnline/custom/providers.xml 에 넣어 놓고 LOCUS를 실행하면 모든 지도를 예전처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아 답변 고맙습니다 잘 되는군요. ^^
이것저것 해보고 있는데 정말 한글화도 잘 되었고 휼륭합니다~
그런데 또 안되는게 있는데
운전하면서 트랙을 기록했는데 파란색으로 기록이 되던데요.
와 대단한데 여기까지는 좋왔지만
트랙 기록이 계속 지도위에 남아 있는데 버그일까요.
구글 오프라인 지도 다운받아 사용중이고요.
어떻게 하면 파란색으로 기록된 트랙을 삭제할 수 있을까요.
트랙 저장 방법도 모르겠고 도움 좀 부탁드릴게요. ^^
안녕하세요? 첫번째 댓글 달았던 사람 입니다.
그 이후로 locus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고, 저도 많은 걸 배웠습니다. 다 나난오에님 덕분 입니다. 감사합니다.
우선 위에 어느분이 트랙과 포인터 질문 하셨는데 트랙내에 특정 포인터 저장은 오른쪽 패널의 포인터 저장 기능 말고 트랙 매뉴중의 포인터 저장을 하셔야 됩니다. 둘다 포인트로 불리지만 아마도 전자는 waypoint 개념이고 후자는 marker인것 같습니다. 저는 가민 gps기기를 사용중인데 여기서도 웨이포인트는 트랙과 별개로 나타납니다......
아 오늘 글을 쓴 이유는 위의 포인트 땜이 아니고 providers.xml때문입니다.
혹시 다음이나 네이버 지도를 provider.xml에 추가 할 수 있을까요?
저는 한지점의 좌표를 넣어서 그 위치를 찾아가려고 합니다. 지적측량기준점을 찾아가려고 하는데요 wgs84좌표로 변환해서 데이터를 입력했씁니다. 네비게이션 처럼 길안내는 필요없고 내가 있는 위치에서 목적지까지 방향 및 거리만 표시되면 위치를 찾아가기 편리할것 같습니다. 측량기준점들이 산속에 있고 근처 산까지는 찾아가는데 정확한 위치까지 가려면 이런 툴을 이용하지 않으면 상당한 시간이 소요가 됩니다.
구글지도 상에 거리는 표시되는데 화면 줌이 많이 되질 않아 방향 잡기가 힘이 들구요
나침반 기능이 딱 들어맞는 기능인데 어찌된 것인지 폰을 돌리니까 동서남북이 같이 돌아 가버리네요..
가장 매력적인 부분이 OffLine 맵이 저장 가능하다는 것이고, 다른 부분들은 전용 GPS 앱들에 비해 직관성이나 UI 구성이 다소 복잡하다는 느낌입니다.
다른 앱들이 놓치고 있는 반짝이는 기능들도 보이지만,
GPS 앱의 기본 기능은 맵브라우징과 Where to를 중심으로 트랙로깅, 라우팅, 검색 정도 인데. 표준 gpx 화일에서 언급되는 각종 포인트들(waypoint, trackpoint, routepoint 등)에 대해 명확한 이해가 있는지 하는 의문이 드네요.
보통 Position format을 hddd.dddd, hdddmm.mmm, hddd.mmss.s 등으로 표시하는데, 이 앱은 x.x, x.x.x, ... 에 도나 분을 나타내는 기호를 붙여 표현해서 다소 혼란스럽기까지 합니다
개발자의 프로그램 실력에 비해, GPS 관련 지식의 깊이가 다소 덜한 것 같아 약간 아쉽습니다. 물론 6$ 정도의 값어치는 충분히 넘치죠^^
포인트개념에 약간의 혼란이 있는건 사실입니다만 이해하고 사용하시면 별 문제가 없어보입니다..Position format에 관하여는 도분초 원래 기호를 사용함으로서 저의경우 더 보기가 편하더군요..h d m s 로 표시하는건 표준자판에 도 표시가 없었기 때문에 생긴 방법으로 생각되네요..
http://forum.asamm.cz/viewtopic.php?f=21&t=3
링크 글의 도움을 받아 OziCE용 맵을 변환해서 tar 화일을 만들어 Locus에 올려봤습니다.
조금 이상한 것이 현위치를 인식한 것으로 봐서 맵매칭 등은 정상인 것 같은데, 지도 상의 특정지점을 클릭해서 나타나는 경위도 좌표가 N 00 0.020, E 00 0.068 과 같이 N,E 00 0 을 기준으로 보여주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지도 상의 특정 지점을 클릭해서 목적지로 선정하면 해당 지점이 선정되는 것이 아니라 위 경위도 좌표처럼 '13182'km나 떨어져 있는 곳을 가르키네요
국산맵이라 하심은 어떤 지도를 지칭하시는지요?
벡터맵을 만들 때, OSM 맵을 원도로 하는 것 아닌가요?
다른 상용 맵들은 저작권 문제로 어차피 locus에서 수용하기가 곤란할 것 같은데, ...
제가 체코 벡터맵을 다운받아보니 그곳도 OSM으로 작업한 것 같았습니다. 문제는 국내 OSM이 위 언급된 국가에 비해 부실하다는 것인데, .. 그래도 누군가 국내 OSM을 Locus용 벡터맵으로 만들어 주심 좋겠네요^^
mobac에서 Vector 맵이 다운되나요?^^
요즘 새로 업된 버젼의 Vector 탭 부분과 Locus 포럼 Version 게시판에 벡터맵관련 논의가 진행중이더군요.
개발자가"do not put too much effort to map creating guys. I'll have to solve this "problem" in some global way when I'll enable officially vector maps in Locus, so I'm sure, all maps will be available but it will take some time ..."
이렇게 언급한 부분이 있는데... 정확히 어떤 의미인지 모르겠습니다.
현재 문제가 있는 벡터 맵 부분을 확실하게 처리하겠다는 것인지, Locus에서 벡터맵이 생성되도록 하겠다는 것인지... 후자는 가능할 것 같지가 않은데...
청기
| 2011.05.16 16:31 | 댓글주소 | 수정/삭제 | 댓글쓰기 |아 답변 고맙습니다 잘 되는군요. ^^
이것저것 해보고 있는데 정말 한글화도 잘 되었고 휼륭합니다~
그런데 또 안되는게 있는데
운전하면서 트랙을 기록했는데 파란색으로 기록이 되던데요.
와 대단한데 여기까지는 좋왔지만
트랙 기록이 계속 지도위에 남아 있는데 버그일까요.
구글 오프라인 지도 다운받아 사용중이고요.
어떻게 하면 파란색으로 기록된 트랙을 삭제할 수 있을까요.
트랙 저장 방법도 모르겠고 도움 좀 부탁드릴게요. ^^
마레
| 2011.06.21 23:29 | 댓글주소 | 수정 |윗쪽 데이터관리탭(지도선택탭 좌측)을 선택후 트랙을 선택후 대상트랙명을 터치하면 메뉴바가 뜨는데 삭제를 선택하면 됩니다..
한신지몽
| 2011.05.22 23:40 | 댓글주소 | 수정/삭제 | 댓글쓰기 |안녕하세요? 첫번째 댓글 달았던 사람 입니다.
그 이후로 locus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고, 저도 많은 걸 배웠습니다. 다 나난오에님 덕분 입니다. 감사합니다.
우선 위에 어느분이 트랙과 포인터 질문 하셨는데 트랙내에 특정 포인터 저장은 오른쪽 패널의 포인터 저장 기능 말고 트랙 매뉴중의 포인터 저장을 하셔야 됩니다. 둘다 포인트로 불리지만 아마도 전자는 waypoint 개념이고 후자는 marker인것 같습니다. 저는 가민 gps기기를 사용중인데 여기서도 웨이포인트는 트랙과 별개로 나타납니다......
아 오늘 글을 쓴 이유는 위의 포인트 땜이 아니고 providers.xml때문입니다.
혹시 다음이나 네이버 지도를 provider.xml에 추가 할 수 있을까요?
제가 시도 해봤으나 두 지도의 url구조를 잘 몰라서 실패....ㅠㅠ
길찾기
| 2011.05.26 10:04 | 댓글주소 | 수정/삭제 | 댓글쓰기 |저는 한지점의 좌표를 넣어서 그 위치를 찾아가려고 합니다. 지적측량기준점을 찾아가려고 하는데요 wgs84좌표로 변환해서 데이터를 입력했씁니다. 네비게이션 처럼 길안내는 필요없고 내가 있는 위치에서 목적지까지 방향 및 거리만 표시되면 위치를 찾아가기 편리할것 같습니다. 측량기준점들이 산속에 있고 근처 산까지는 찾아가는데 정확한 위치까지 가려면 이런 툴을 이용하지 않으면 상당한 시간이 소요가 됩니다.
구글지도 상에 거리는 표시되는데 화면 줌이 많이 되질 않아 방향 잡기가 힘이 들구요
나침반 기능이 딱 들어맞는 기능인데 어찌된 것인지 폰을 돌리니까 동서남북이 같이 돌아 가버리네요..
프로그램을 잘못 사용하고 있는건지..
마레
| 2011.06.21 23:19 | 댓글주소 | 수정 |나침판 캘리브레이션을 한후 아래줄 첫번째 중앙위치와 3번째 에서 지도회전을 선택 하면 나침판에의한 방위각에따라 지도가 회전합니다..(단,설정-센서-하드웨어나침판사용;체크)
우리
| 2011.05.31 10:28 | 댓글주소 | 수정/삭제 | 댓글쓰기 |가장 매력적인 부분이 OffLine 맵이 저장 가능하다는 것이고, 다른 부분들은 전용 GPS 앱들에 비해 직관성이나 UI 구성이 다소 복잡하다는 느낌입니다.
다른 앱들이 놓치고 있는 반짝이는 기능들도 보이지만,
GPS 앱의 기본 기능은 맵브라우징과 Where to를 중심으로 트랙로깅, 라우팅, 검색 정도 인데. 표준 gpx 화일에서 언급되는 각종 포인트들(waypoint, trackpoint, routepoint 등)에 대해 명확한 이해가 있는지 하는 의문이 드네요.
보통 Position format을 hddd.dddd, hdddmm.mmm, hddd.mmss.s 등으로 표시하는데, 이 앱은 x.x, x.x.x, ... 에 도나 분을 나타내는 기호를 붙여 표현해서 다소 혼란스럽기까지 합니다
개발자의 프로그램 실력에 비해, GPS 관련 지식의 깊이가 다소 덜한 것 같아 약간 아쉽습니다. 물론 6$ 정도의 값어치는 충분히 넘치죠^^
좋은 정보와 상세한 설명,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비밀댓글입니다
마레
| 2011.06.21 23:01 | 댓글주소 | 수정 |포인트개념에 약간의 혼란이 있는건 사실입니다만 이해하고 사용하시면 별 문제가 없어보입니다..Position format에 관하여는 도분초 원래 기호를 사용함으로서 저의경우 더 보기가 편하더군요..h d m s 로 표시하는건 표준자판에 도 표시가 없었기 때문에 생긴 방법으로 생각되네요..
고시레
| 2011.06.05 16:46 | 댓글주소 | 수정/삭제 | 댓글쓰기 |한가지 더 질문합니다.
혹시 가민사 등고선 지도는 사용이 가능하나요?
마레
| 2011.06.21 22:49 | 댓글주소 | 수정 |가민지도(topo)활용은 어려울것입니다..
우리
| 2011.06.06 20:55 | 댓글주소 | 수정/삭제 | 댓글쓰기 |http://forum.asamm.cz/viewtopic.php?f=21&t=3
링크 글의 도움을 받아 OziCE용 맵을 변환해서 tar 화일을 만들어 Locus에 올려봤습니다.
조금 이상한 것이 현위치를 인식한 것으로 봐서 맵매칭 등은 정상인 것 같은데, 지도 상의 특정지점을 클릭해서 나타나는 경위도 좌표가 N 00 0.020, E 00 0.068 과 같이 N,E 00 0 을 기준으로 보여주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지도 상의 특정 지점을 클릭해서 목적지로 선정하면 해당 지점이 선정되는 것이 아니라 위 경위도 좌표처럼 '13182'km나 떨어져 있는 곳을 가르키네요
Locus로 OziMap 사용관련해서 보고된 에러가 없는지요?
필요하다면 변환된 tar 화일 보내드리겠습니다.
우리
| 2011.06.07 09:16 | 댓글주소 | 수정 |아.. 정말 죄송합니다. 그런 의도는 아니었는데...
개발자도 Ozi 관련은 개선이 필요한 걸 인식하지만, priority가 밀린다는 글이 있었습니다만 혹시 변환과정 등에서 제가 놓치고 있는 부분이 있는 것 같아 문의드렸던 것입니다.
oziMap 변환, 사용시에 다른 분들도 같은 증상이라면 포럼에 올리거나, 개발자에게 문의드려봐야겠군요.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우리
| 2011.06.13 09:05 | 댓글주소 | 수정 |Ozi 맵 사용부분은 현재의 1.8.7 pro 버젼의 버그같네요^^
http://forum.asamm.cz/viewtopic.php?f=25&t=613 에 있는 Locus 1.8.7.3 베타버젼 설치해봤더니 정상적으로 경위도 표시되는군요.
미루
| 2011.06.07 12:25 | 댓글주소 | 수정/삭제 | 댓글쓰기 |좋은 앱 소개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궁금한 점이 있는데 혹시 오프라인 상태에서 지명 검색이나 경로 탐색은 않되나요?
마레
| 2011.06.21 22:45 | 댓글주소 | 수정 |경로탐색이나 지명검색이 되는 지도를 다운로드받아 개인지도로 사용할시 오프라인에서도 가능합니다..
By플라워
| 2011.06.15 13:56 | 댓글주소 | 수정/삭제 | 댓글쓰기 |궁급해서 질문합니다. 이게 국내에서야 3G 망을 이용해서 GPS수신이 자유로운데
해외(유럽권)에서는 오프라인맵을 이용할때 GPS 수신이 가능한가요!?
By플라워
| 2011.06.15 17:51 | 댓글주소 | 수정 |음... 언뜻이해가 잘안되어서 그러는데용.
그럼 별도의 3G 데이터나 와이파이 없이도 GPS 수신이 된다는말인가요?
마레
| 2011.06.21 22:21 | 댓글주소 | 수정 |오프라인으로 사용시 최초위치확인에 수분~수십분 소요될수 있지만 일단 첫위치가 확인되면 그후에는 온라인과 관계없이 계속 정확한 위치를 표시합니다..즉 온라인에서 A-GPS 를 사용하는 이유는 최초위치확인을 좀더 빨리하기 위함이죠..
By플라워
| 2011.06.22 10:25 | 댓글주소 | 수정 |네 테스트 해보니 잘되던구요 감사합니다.
그리고 한가지 더 궁금한데요 트랙을 미리 pc로 설정가능여부와 오프라인 지도에서 위치검색이 가능한지가 궁금합니다. 오프라인맵에서는 아무리봐도 위치검색이 안되던데...
By플라워
| 2011.06.23 08:17 | 댓글주소 | 수정 |아 답변 감사드립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훌륭한 프로그램이라 요즘 잘 사용하고있습니다 ^^
특히 유럽 자유여행때 발군의 성능을 보여주더군요
우리
| 2011.06.23 08:28 | 댓글주소 | 수정/삭제 | 댓글쓰기 |버젼업되면서 벡터맵 지원이 되던데, ...
maps for download:
- Croatia
- Czech Republic
- Denmark
- Germany
- Great Britain
- Netherland
- Sweden
- Austria
- Australia
국내 벡터맵 만들어 주실 실력자 분은 없으신지...
우리
| 2011.06.24 20:48 | 댓글주소 | 수정 |국산맵이라 하심은 어떤 지도를 지칭하시는지요?
벡터맵을 만들 때, OSM 맵을 원도로 하는 것 아닌가요?
다른 상용 맵들은 저작권 문제로 어차피 locus에서 수용하기가 곤란할 것 같은데, ...
제가 체코 벡터맵을 다운받아보니 그곳도 OSM으로 작업한 것 같았습니다. 문제는 국내 OSM이 위 언급된 국가에 비해 부실하다는 것인데, .. 그래도 누군가 국내 OSM을 Locus용 벡터맵으로 만들어 주심 좋겠네요^^
우리
| 2011.06.25 09:51 | 댓글주소 | 수정 |mobac에서 Vector 맵이 다운되나요?^^
요즘 새로 업된 버젼의 Vector 탭 부분과 Locus 포럼 Version 게시판에 벡터맵관련 논의가 진행중이더군요.
개발자가"do not put too much effort to map creating guys. I'll have to solve this "problem" in some global way when I'll enable officially vector maps in Locus, so I'm sure, all maps will be available but it will take some time ..."
이렇게 언급한 부분이 있는데... 정확히 어떤 의미인지 모르겠습니다.
현재 문제가 있는 벡터 맵 부분을 확실하게 처리하겠다는 것인지, Locus에서 벡터맵이 생성되도록 하겠다는 것인지... 후자는 가능할 것 같지가 않은데...
산행
| 2011.06.23 12:12 | 댓글주소 | 수정/삭제 | 댓글쓰기 |locus에서 일반 둥산지도를 보고 미리 루트를 저장하여 두었다가
현지에서 불러낸다음 지정한 루트와 현재트랙을 비교하며 사용할수는 없나요?
등고선 지도에 없는 (약수터, 마당바위, 갈림길) 포인터를 미리 설정할수 있으면
많은도움이 될텐데....
마레
| 2011.06.23 16:17 | 댓글주소 | 수정 |우측패널에서 트랙추가툴(연필처럼생긴)을 선택->아래측 + 보턴으로 트랙포인트를생성 하여 연속된트랙을 만듬->아래측 체크표시버턴을 선택, 카테고리창 에서 이름입력후 확인->위쪽 데이터관리(디스크모양)선택->트랙 선택->해당트랙에 체크하면 지도화면에 보임.(이때 해당트랙이름을 누르면 수정하거나 지우거나 지도에보이게하거나 할수있는 관리바가 뜸)..우측패널 포인트생성툴(+표시)을 이용 지점(웨이포인트)를 입력하여 앞에서만든 트랙(루트:로커스에서는 개념이 혼동됨)과 함께 활용할수있음.
산행
| 2011.06.29 16:53 | 댓글주소 | 수정 |나난오예. 마레님 감사합니다
연구 많이 해보겠습니다
평촌나리
| 2011.06.26 18:54 | 댓글주소 | 수정/삭제 | 댓글쓰기 |뭔가 지금까지 찾고 있던거를 발견한 느낌이네요
등산할 경우, offline상태, 지도는 안뜨지 무용지물이었던 스마트폰이
깔끔하게 정리해주신 블로그때문에 이용할수 있게 되었습니다.
유료버전과 무료버전의 차이는 무엇인지요 ?
평촌나리
| 2011.06.30 15:43 | 댓글주소 | 수정/삭제 | 댓글쓰기 |일단 무료버전 사용법 80%정도 익혀서 이번주 설악산행 갑니다.
트랙은 다른분 것 인터넷에서 받았고 밧데리2개추가로 준비,
지도는 구글지도로 offline용으로 다운받았습니다.
이번산행에 제 트랙은 기록하지 않을 예정입니다.
아무튼 감사합니다.
화선
| 2011.07.03 01:02 | 댓글주소 | 수정/삭제 | 댓글쓰기 |구글의 일본지도를 다운받았는데 대부분의 지명이 일본어로 되어있네요. 영어로 된 지도를 다온받으려면 어떻게해야 하는지요?
여리
| 2011.08.25 11:08 | 댓글주소 | 수정/삭제 | 댓글쓰기 |나난오예님 감사드립니다. 덕분에 편하게 사용합니다.
고시레
| 2011.09.15 10:52 | 댓글주소 | 수정/삭제 | 댓글쓰기 |등산어플에서 각 어플마다 고도계값이 틀리는데 고도계값 보정하는 방법을 아시면 부탁합니다.
locus와 oruxmaps와의 고도값이 틀리고 산정상 삼각점에서 고도값을 수정을 해도 맞지가 않네요?할줄 몰라섷ㅎㅎㅎㅎㅎ
부탁합니다
미션
| 2011.09.29 09:32 | 댓글주소 | 수정/삭제 | 댓글쓰기 |나난오예님 설명 덕분에 LOCUS 잘 쓰고 있는데요
온라인으로 공유된 지도로 다운받는 경우 2G가 넘은 상태에서 어플을 새롭게
켤 경우 지도 캐시를 지우는 질문 (안내)창이 매번 나오는데 귀찮네요
1. 다운로드시 안내창에 2G 이하로 다운로드 관리 하라고 메세지를 미리 안내하면
좋을것 같구요
2. 이미 다운받은 타일의 크기가 2G가 넘을경우 지도캐시를 지우는 방법 3법 방법인
캐시에서 날짜에 따라 불러온 지도 타일 데이터를 삭제, 캐시에 남기려는 날짜를
지정한 후 "확인"버튼을 누름....(이하 생략)
이라고 안내가 있는데
어디에서 어떻게 해야 하는지 잘 모르겠네요
나난오예님 잘 부탁 드립니다
다시한번 님의 자세한 설명 덕분에 아주 훌륭한 어플 잘쓰고 있음을
감사 드립니다
산아
| 2011.10.21 16:06 | 댓글주소 | 수정/삭제 | 댓글쓰기 |댓글들을 쭈욱~~ 읽어보면 감사하다는 의견이 많군요..
저두 많이 감사해 하고 싶습니다.
근데 어디를 봐야되는지요??..
혹시 로그인이 필요합니까?
궁금해서 미치겠는데....끙ㅠㅠㅠ
요즘 인터넷 내용은 뭔지를 모르겠네요..
어디를 찿아서 내용을 봐야되나요??
허접한 질문 ... 죄송합니다.
궁급해요
| 2011.11.05 02:33 | 댓글주소 | 수정/삭제 | 댓글쓰기 |안녕하세요 와이파이 없는곳에서두 지명검색이 됄까요?
능력자
| 2011.11.10 13:29 | 댓글주소 | 수정/삭제 | 댓글쓰기 |정말 고맙습니다.세세하게 한글로 돼있어서 정말 편하게 쓰고 있습니다.
부동산지도(지번지도)를 씌워서 locus 에서 사용할수 있는 가능성이 있을까요?
지오피스지번지도 에서 맵을 빼낼수 있엇습니다.(나쁜방법으로...)서울만 800장 분량인거 같구요.이걸 맵타일이라고 생각하는건 정말 무식한건가요?
가능성이 정말 궁금합니다
luxun
| 2012.10.31 17:22 | 댓글주소 | 수정/삭제 | 댓글쓰기 |정말 감사합니다. 구글 맵까지 설정을 하니 잘 나오네요..
여기에 다음이나 네이버 맵도 설정을 할 수 있다면 정말 최고 일것 같습니다.
방법을 한번 찾아봐야겠습니다.
산행하면서 유용하게 사용할것 같습니다.